깃헙을 더 안전하게! 개인키 발급받아서 보안 강화하기

깃헙(GitHub)에서 작업하다 보면, HTTPS 방식이 아닌 SSH 키를 활용해서 접근해야 할 순간이 생깁니다.
“어? SSH 키? 이게 뭐지?” 하며 멈칫한 적 있다면, 제대로 찾아오셨습니다! ㅎㅎ

깃헙을 좀 더 안전하게 활용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개인 SSH 키(개인키, Private Key)를 발급받아 등록하는 것!
이걸 설정하면, 매번 깃헙 로그인할 필요 없이 보안이 강화된 인증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어요.

오늘은 깃헙 개인키를 발급받는 방법부터 등록까지, 한 방에 끝내는 가이드를 준비했어요!
혹시 “뭐가 뭔지 모르겠어 ㅠㅠ” 하는 분도 걱정 마세요.
쉽고 빠르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알려드릴 테니까요.

그럼 바로 시작해볼까요? 💡

깃헙을 더 안전하게! 개인키 발급받아서 보안 강화하기

1. SSH 키(개인키)란? 🤔

SSH 키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인증 방식입니다.
보통 깃헙에 HTTPS 방식으로 로그인해서 코드를 푸시(push)하거나 풀(pull)하잖아요?
하지만 이 방법은 매번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그래서 SSH 키(개인키 + 공개키)를 이용하면,
비밀번호 입력 없이 깃헙과 내 로컬 PC 간 보안이 강화된 연결이 가능해집니다.

🔹 SSH 키는 이렇게 동작합니다!
✔️ 내 컴퓨터에서 **개인키(Private Key) + 공개키(Public Key)**를 생성함
✔️ 공개키는 깃헙에 등록, 개인키는 내 로컬 PC에 저장
✔️ SSH 키를 사용하면 비밀번호 없이도 인증이 가능

즉, 한 번 설정하면 매번 로그인할 필요 없이 깃헙을 더 편하게 쓸 수 있음! 😎


2. SSH 키 발급받기 (개인키 생성) 🔑

SSH 키를 만들려면 터미널(명령 프롬프트)을 열어야 합니다.
운영체제별로 터미널 여는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 Mac / Linux:

Ctrl + Alt + T 또는 터미널 앱 실행

🖥 Windows:

Git Bash (깃 배시) 실행

자, 이제 SSH 키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sh-keygen -t rsa -b 4096 -C "your_email@example.com"

📌 설명:

  • -t rsa → RSA 방식의 키 생성
  • -b 4096 → 4096비트 암호화 적용 (더 안전)
  • -C "your_email@example.com" → 깃헙 계정 이메일 추가

명령어를 실행하면 파일을 어디에 저장할 건지 물어보는데요,
그냥 엔터(Enter) 치면 기본 경로(~/.ssh/id_rsa)에 저장됩니다.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도 있는데, 보안이 걱정된다면 입력하고, 아니면 그냥 엔터!


3. 깃헙에 SSH 공개키 등록하기 🌐

이제 방금 만든 SSH 공개키(Public Key)를 깃헙에 등록해야 합니다.
공개키는 아래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어요!

bash
복사편집
cat ~/.ssh/id_rsa.pub

그러면 한 줄로 된 SSH 공개키가 출력됩니다.
이걸 깃헙에 등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깃헙에서 SSH 키 등록하기
1️⃣ 깃헙(GitHub) 접속 후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 클릭
2️⃣ Settings(설정) → SSH and GPG keys 클릭
3️⃣ New SSH key 버튼 클릭
4️⃣ Title에 키 이름 입력 (ex. “My Laptop SSH Key”)
5️⃣ Key 부분에 방금 복사한 공개키를 붙여넣기!
6️⃣ Add SSH key 클릭하면 완료! 🎉


4. SSH 키 연결 테스트하기 ✅

SSH 키를 정상적으로 등록했는지 확인하려면,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bash
복사편집
ssh -T git@github.com

그러면 이런 메시지가 나오면 성공입니다!

vbnet
복사편집
Hi username! You've successfully authenticated, but GitHub does not provide shell access.

🚀 “성공적으로 인증되었습니다!”
이제부터 깃헙에 비밀번호 입력 없이도 깃 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어요!

만약 “Permission denied” 같은 에러가 뜬다면?
👉 SSH 에이전트 실행 후 키를 추가해보세요!

bash
복사편집
eval "$(ssh-agent -s)"
ssh-add ~/.ssh/id_rsa

이렇게 하면 SSH 키가 활성화되면서 연결이 원활해집니다. 😆


5. 깃 리모트 주소를 SSH 방식으로 변경하기 🔄

이제 깃헙과 SSH 연결이 완료되었으니,
기존에 HTTPS 방식으로 등록된 깃 리모트 주소를 SSH로 변경해야 합니다.

🔹 현재 등록된 깃 리모트 확인

bash
복사편집
git remote -v

만약 결과가 이런 식으로 나온다면?

perl
복사편집
origin https://github.com/username/repository.git (fetch)
origin https://github.com/username/repository.git (push)

이걸 SSH 방식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 SSH 방식으로 리모트 주소 변경

bash
복사편집
git remote set-url origin git@github.com:username/repository.git

다시 git remote -v로 확인하면,

scss
복사편집
origin git@github.com:username/repository.git (fetch)
origin git@github.com:username/repository.git (push)

이렇게 나오면 성공! 🎉


6. SSH 키 설정 후 깃 커밋 & 푸시하기 🚀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났으니,
SSH 키를 사용해서 깃헙에 커밋을 푸시(push)해볼까요?

🔹 깃 커밋 & 푸시하기

bash
복사편집
git add .
git commit -m "My first commit using SSH!"
git push origin main

🎉 비밀번호 입력 없이 푸시 완료!

이제부터 깃헙을 사용할 때 매번 로그인할 필요 없이,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깃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SSH 키 설정,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 SSH 키 관련 자주 묻는 질문

❓ SSH 키를 여러 개 만들 수 있나요?

👉 네!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회사용과 개인용 SSH 키를 따로 만들 수도 있어요.
키를 추가하려면 ~/.ssh/config 파일을 만들어서
서버별로 다른 SSH 키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면 됩니다.


❓ SSH 키 등록했는데 깃헙 연결이 안 돼요! 😭

👉 먼저 아래 해결책을 시도해 보세요!
1️⃣ ssh -T git@github.com 입력해서 인증 확인
2️⃣ eval "$(ssh-agent -s)" → SSH 에이전트 실행
3️⃣ ssh-add ~/.ssh/id_rsa → SSH 키 추가
4️⃣ 그래도 안 되면 깃헙에서 공개키를 다시 등록


❓ SSH 방식과 HTTPS 방식, 뭐가 더 좋은가요?

👉 보안과 편리함을 생각하면 SSH 방식이 더 좋습니다.
✔️ SSH 키를 등록하면 비밀번호 입력 없이 깃 사용 가능
✔️ HTTPS 방식은 매번 인증해야 해서 번거로움
✔️ 하지만 기업 환경에서는 HTTPS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음


🚀 SSH 키 설정, 이제 깃헙을 더 편리하게!

SSH 키를 설정하면,
비밀번호 없이 깃헙을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협업 프로젝트에서 매번 로그인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요.

✔️ 한 번만 설정하면 계속 편리하게 사용 가능!
✔️ 보안도 강화되니 더 안전하게 깃헙 활용 가능!

이제 여러분도 SSH 키 설정 완료하고,
더 스마트한 개발자로 거듭나 보세요! 😎


함께 보면 좋은 글

Helm vs KRO, Kubernetes 배포의 승자는? 🏆

퀀텀이 뭐야? 큐비트가 뭐야? 최대한 쉽게 설명해준다!

SHA vs AES, 뭐가 다를까? 🔍 초보도 쉽게 이해하는 암호화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