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네트워크에서 앱스토어가 막혔다고? 괜찮아, 터미널이 있잖아!”
보통 Xcode는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지만, 기업 네트워크나 보안 정책 때문에 앱스토어가 막혀 있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터미널을 이용해 Xcode를 설치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Xcode 터미널에서 설치하는 방법
1️⃣ Xcode Command Line Tools 설치
Xcode의 개발 도구 중 핵심인 **Command Line Tools(CLT)**는 터미널에서 직접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터미널 실행 (
⌘ + Space
→ “터미널” 입력 후 실행) - 다음 명령어 입력:xcode-select –install
- 팝업이 뜨면 “설치” 버튼 클릭
- 다운로드 및 설치 완료 후,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xcode-select -p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
경로가 출력됩니다.
2️⃣ 터미널로 Xcode 직접 다운로드 및 설치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없다면, Apple Developer 공식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할 수도 있습니다.
🛠 방법 1: softwareupdate
명령어 사용 (가장 간단한 방법)
sudo softwareupdate --install-rosetta --agree-to-license
위 명령어는 Rosetta 2를 설치하는 것이지만, 일부 macOS 버전에서는 Xcode 설치도 함께 진행됩니다.
🛠 방법 2: Apple Developer 사이트에서 직접 다운로드
- Apple Developer 사이트(https://developer.apple.com/download/more/) 방문
- Apple ID 로그인
Xcode
검색 후 최신 버전.xip
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한
.xip
파일을 터미널에서 풀기:xip -x ~/Downloads/Xcode.xip - Xcode를
Applications
폴더로 이동:sudo mv Xcode.app /Applications/
3️⃣ Xcode 설치 후 환경 설정
설치 후에는 개발 환경을 설정해야 합니다.
🔹 Xcode 기본 설정
sudo xcode-select --switch /Applications/Xcode.app/Contents/Developer
🔹 Xcode 버전 확인
xcodebuild -version
출력 예시:
Xcode 15.2
Build version 15C500b
🧐 추가 팁: Homebrew로 Xcode 설치 가능?
Homebrew로 Xcode를 설치할 수는 없지만, Xcode CLI를 설치하는 방법은 있습니다.
brew install --cask xcode
그러나 이 방법은 내부적으로 App Store를 이용하기 때문에, 회사 네트워크에서 차단된 경우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xcode-select --install
이 안 될 때 해결 방법은?
A: Command Line Tools
설치가 실패하면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세요.
sudo rm -rf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
xcode-select --install
그리고 다시 실행하면 정상 설치됩니다.
Q2. Xcode 설치 후에도 clang
명령어가 안 먹힙니다.
A: 환경 변수를 재설정해야 합니다.
sudo xcode-select --reset
Q3. Xcode가 너무 용량이 커서 설치하기 어려운데 경량 버전은 없나요?
A: Xcode 전체가 아니라, 간단한 개발 도구만 필요하다면 Command Line Tools만 설치해도 충분합니다.
xcode-select --install
이렇게 하면 대략 200MB 정도만 다운로드됩니다.
🎯 결론: 앱스토어 없이도 Xcode 설치 가능!
회사 네트워크에서 앱스토어가 막혀도 터미널을 이용하면 얼마든지 Xcode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제 직접 실행해보고, 코딩 환경을 세팅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