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마스크가 뭐지? 초보자를 위한 쉬운 개념 정리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구분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인터넷을 사용할 때 자동으로 설정되지만, 이를 이해하면 네트워크 구조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서브넷마스크의 개념, 역할, 그리고 직접 계산하는 방법을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란?

서브넷마스크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IPv4 주소(예: 192.168.1.1) 는 네트워크와 장치(호스트)를 식별하는데, 서브넷마스크가 없으면 어느 부분이 네트워크인지 알 수 없습니다.

예제:

  • IP 주소: 192.168.1.10
  •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여기서 255.255.255.0 은 처음 3개의 옥텟(255)은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내고, 마지막 0은 호스트 주소를 나타냅니다. 즉, 같은 서브넷 내에서는 같은 네트워크 주소를 공유하게 됩니다.



📌 서브넷마스크가 왜 필요할까?

✅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나누기 위해

대형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서브넷)으로 나누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직원 200명이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가정해봅시다. 모든 컴퓨터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속도가 느려지고, 관리도 어려워집니다. 하지만 서브넷마스크를 활용해 그룹을 나누면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서브넷을 나누면 좋은 점:
✔️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 보안 강화 (네트워크 그룹별 접근 제한 가능)
✔️ IP 주소 낭비 방지



🏠 서브넷마스크를 쉽게 이해하는 방법!

서브넷마스크 개념이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그래서 “아파트 주소 시스템” 을 예로 들어 쉽게 설명해볼게요! 🏢


📌 서브넷마스크를 아파트 주소로 이해해보자

IP 주소를 아파트 주소에 비유해보겠습니다.

  • 🏢 IP 주소 (예: 192.168.1.10) → 아파트의 전체 주소
  • 🚪 호스트(컴퓨터) → 개별 가구 (101호, 102호…)
  • 🌎 네트워크 주소 → 같은 동(1동, 2동…)
  • 📏 서브넷마스크 → 어디까지가 같은 네트워크(동)인지 정하는 규칙

✅ 예제 1: 서브넷마스크 없이 IP 주소를 사용하면?

만약 서브넷마스크가 없다면 아래 같은 일이 벌어집니다:

🏢 192.168.1.10 → “서울 아파트”
🏢 192.168.2.20 → “부산 아파트”

서브넷마스크가 없으면, 이 두 개의 주소가 같은 아파트에 있는지? 다른 도시에 있는지? 구분할 방법이 없어요.

즉, 서브넷마스크가 있어야 네트워크를 나눌 수 있다는 것이죠!


✅ 예제 2: 서브넷마스크로 네트워크를 나누면?

예를 들어,

  •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이면 → 같은 동(네트워크) 내의 집들만 연결
  • 서브넷마스크: 255.255.0.0 이면 → 같은 아파트 단지(더 넓은 네트워크) 내 모든 동과 연결

🚪 IP 주소: 192.168.1.10 /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 같은 192.168.1.xxx 네트워크 안에서만 통신 가능!

🚪 IP 주소: 192.168.2.10 / 서브넷마스크: 255.255.0.0
→ 192.168.xxx.xxx 네트워크 안에서는 서로 연결 가능!

✅ 즉, 서브넷마스크는 “어디까지 같은 네트워크인가?” 를 정하는 규칙이에요!


🎯 서브넷마스크, 이제 이해됐나요?

✔️ IP 주소 = 아파트 주소
✔️ 서브넷마스크 = 어느 동까지 같은 네트워크인지 정하는 기준
✔️ 숫자가 클수록(255.255.255.0) 더 좁은 범위, 숫자가 작을수록(255.255.0.0) 넓은 범위!

이제 서브넷마스크가 왜 필요한지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겠죠? 😊



📌 서브넷마스크 직접 계산해보기

서브넷마스크와 CIDR 표기법

서브넷마스크는 4개의 숫자로 구성되지만,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표기법을 함께 사용하면 더 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서브넷마스크CIDR 표기법호스트 개수
255.0.0.0/816,777,214
255.255.0.0/1665,534
255.255.255.0/24254
255.255.255.128/25126
255.255.255.192/2662

CIDR /24 → 24비트가 네트워크 주소, 나머지 8비트가 호스트 주소

서브넷마스크 계산하는 법 (초보자용 예제)

예를 들어, 192.168.1.0/24 네트워크가 있다면:
✔️ 서브넷마스크255.255.255.0
✔️ 사용 가능한 IP 범위192.168.1.1 ~ 192.168.1.254
✔️ 네트워크 주소192.168.1.0
✔️ 브로드캐스트 주소192.168.1.255

이제, /26 (255.255.255.192)으로 네트워크를 더 나누면?
✔️ 사용 가능한 IP 개수: 62개 (호스트 주소 감소)

이처럼 서브넷마스크를 조정하면 네트워크를 더욱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 서브넷마스크 쉽게 외우는 법

서브넷마스크의 기본 개념을 이해했다면, 쉽게 암기하는 법도 필요합니다.

✅ 255 = 8비트 (네트워크 부분)
✅ 0 = 8비트 (호스트 부분)
✅ 192, 224, 240 등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패턴

다음 표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서브넷마스크비트 개수네트워크 개수 증가율
255.255.255.024비트x1 (기본)
255.255.255.12825비트x2
255.255.255.19226비트x4
255.255.255.22427비트x8

TIP: 서브넷마스크는 항상 2의 제곱 단위로 증가하므로, 이진수 변환을 하면 쉽게 암기할 수 있습니다!



📌 서브넷마스크를 직접 설정하는 방법 (윈도우 & 리눅스)

💻 윈도우에서 설정하는 법
1️⃣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이동
2️⃣ 사용 중인 네트워크 우클릭 → 속성 선택
3️⃣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선택 후 속성 클릭
4️⃣ 서브넷 마스크를 원하는 값으로 입력 후 저장

🖥️ 리눅스에서 설정하는 법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면 서브넷마스크를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ifconfig eth0
sudo ifconfig eth0 netmask 255.255.255.0

이제 서브넷마스크가 변경됩니다!



📢 마치며: 서브넷마스크, 어렵지 않아요!

지금까지 서브넷마스크의 개념과 활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서브넷마스크는 IP 주소를 나누고 네트워크를 최적화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 네트워크와 호스트 구분
✔️ 효율적인 트래픽 관리
✔️ 보안 강화 및 IP 절약

서브넷마스크가 처음엔 어려워 보이지만, 개념만 이해하면 네트워크 관리가 훨씬 쉬워집니다!
지금 당장 자신의 IP와 서브넷마스크를 확인해보세요! 🚀



❓ FAQ (자주 묻는 질문)

Q1. 서브넷마스크를 변경하면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나요?
👉 직접적인 속도 향상은 없지만, 네트워크가 잘 관리되면 지연 시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Q2. 255.255.255.255 서브넷마스크는 무슨 의미인가요?
👉 이는 “브로드캐스트” 주소로,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에게 신호를 보낼 때 사용됩니다.

Q3. 서브넷마스크 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나요?
👉 불가능합니다! 서브넷마스크가 없으면 네트워크를 인식할 수 없습니다.


함께 하면 좋은 글

GitHub Copilot 에이전트 모드 출시: CDD의 시작

nc 명령어 완벽 가이드: 네트워크 연결 확인부터 실무 활용까지

데이터베이스(DB) 스키마 제대로 이해하기